이 글을 읽고나면
- 법인세가 어떤 방식으로 계산되는지 알 수 있어요.
- 법인세 신고 일정과 신고시 필요한 서류를 알 수 있어요.

법인세 계산 첫 단계, 과세표준 구하기
우리 기업이 납부해야 할 법인세를 계산하기 전에 알아둘 사항이 있어요. 바로 법인세 과세표준입니다. 법인세 과세표준이란 우리가 납부할 법인세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금액으로, 과세표준에 법인세율을 곱하면 납부해야 할 법인세를 알 수 있습니다. 그렇다면 과세표준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?
-
과세표준 = 사업연도 소득-(이월결손금+소득공제액+비과세소득)
-
이월결손금: 과거의 결손금이 공제되지 않아 이월된 금액
-
소득공제액: 세율을 곱하기 전의 금액
-
비과세 소득 금액: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소득 금액
법인세 계산 두 번째 단계, 과세표준에 세율 곱하기
-
산출 세액 = 과세표준(소득) X 세율
과세표준에 법인세율을 곱하면 실제로 납부해야 할 법인세를 알 수 있어요. 이때 법인기업이 법인세 산출 시 적용해야 할 세율은 법인세율인데요. 법인세율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높은 세율을 적용받는 누진세 구조로 되어 있으며, 2023년 현재는 총 4단계로 나뉘어있습니다, 단계별로 적용되는 2023년 법인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
법인세 계산 마지막 단계, 각종 공제액 및 가산세 확인하기
법인세 계산의 마지막 단계는 공제받는 금액이나 가산세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.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법인세를 알 수 있어요.
-
총 납부 세액 = 산출세액 – 각종 공제 및 감면 (+가산세 )
위의 계산식에서 사업자가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‘법인세는 각종 공제/감면 금액이 커질 수록 줄어든다’ 입니다. 만약 이전에 법인세 납부 기한을 놓쳐서 신고하지 못하거나, 실제로 산출된 법인세보다 더 적은 금액으로 법인세를 신고했다면 최종 납부 세액에 가산세까지 포함해야 합니다.
법인세 신고 절차는?
법인세 신고는 연 1회, 사업연도 종료일이 속한 달의 마지막 날부터 3개월 내 신고해야 합니다.

② 법인세 신고 시 제출서류
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신고서에 아래 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.
-
재무상태표
-
포괄손익계산서
-
세무조정계산서
-
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
-
기타 부속서류 및 현금흐름표
-
합병 및 분할로 승계한 자산 혹은 부채 명세서 등
③ 법인세 온라인 신고 절차
-
국세청 홈택스 (https://www.hometax.go.kr) 로그인 → 신고/납부 → 법인세
-
실적이 없는 법인 기업이라면, 홈택스에서 ‘법인세 간편신고’를 선택하여 접수
이렇게 법인 사업자 분들이 알아두면 좋을 법인세 신고 절차 및 계산법을 소개해드렸는데요. 이 때 가장 주의 깊게 살펴야 할 부분은 바로 각종 공제 혜택을 확인해보고 최적의 절세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. 이를 위해 법인세 신고 전에는 꼭 세무 전문가와 상담해보시고, 우리 기업이 적용 받을 수 있는 세액 공제 혜택 유무를 확실하게 알아두세요.
법인세 신고 시에는 준비해야 할 자료도 많을 뿐더러, 납부할 금액을 정확하게 계산하기도 쉽지 않습니다. 하지만 복잡하고 어렵다는 생각에 법인세 신고를 뒤로 미룬다면 각종 가산세를 추가로 납부하게 될 수 있어요.
따라서 법인세 신고는 전문 세무사와 함께 충분한 여유를 두고 준비해야 안전하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. 법인세 신고에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혜움의 전문 세무사와 함께 언제든지 상담해보세요.